반응형
SOC에 따른 DC-IR 변화 추이 그래프
간단하게 결론만 보자면 SOC 낮은 구간, 약 20% 미만에서 급격히 DC-IR이 증가한다.
혹시 이 셀에서만 그런가 싶어 다른 자료를 찾아 봤을때도 대략 SOC 20~30% 사이부터 급격히 DC-IR이 증가한다.
리튬이온배터리팩을 1RC 모델로 모델링했을 때 주요 성분들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BMS로 SOX 추정하기 위해 등가회로 모델을 쓰는데 1RC, 2RC가 주로 사용된다고 한다.
정밀도는 2RC가 높지만 복잡하고, 1RC가 오차율은 조금 높더라도 구현이 용이함!
배터리 내부의 저항성분은 대략 이렇다... (다 풀어쓴것)
하지만 복잡하니 1RC 모델로만 생각해본다.
lumped의 뜻? 덩어리, 뭉탱이 저항뭉탱이
여기서 Ri+Rct = 내부 Ohm 저항을 의미한다. SOH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Rd = 배터리 내의 전기/화학 반응 속도
Cd = 전극과 전해질 사이의 축전기용량..
자세한 건 나중에 더 알아보자.
반응형
'전기차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오닉5, EV6를 220V 가정용 전기로 충전해도 되나요? (0) | 2023.02.15 |
---|---|
전기차 완속충전기(IC-CPD) 통신방식 간단히 알아보기 (SAE J1772) (1) | 2023.02.02 |
전기차 회생제동이 꺼지는 이유 (아이오닉, 테슬라)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