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개발자

전기차 완속충전기(IC-CPD) 통신방식 간단히 알아보기 (SAE J1772)

by 긍정왕수전노 2023. 2. 2.
반응형

220V 벽전원을 이용해서 전기차 (아이오닉5, 6, GV60, EV6 등)를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은 전기차 오너라면 다들 알고 계실텐데요.

일반적으로 220V 벽전원은 1시간당 3.3kWh를 공급할 수 있고 아이오닉 5 배터리 용량이 70kWh쯤 되니 이론적으로 만충전하려면 70/3.3 = 21.2시간 정도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생긴 충전건을 전문용어로 IC-CPD (In-Cable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라고 합니다.

 

그런데 주의할 것이 이 벽전원이 최대 출력이 3.3kW일뿐 실제로는 이보다 작게 흐를 수 있습니다.

이것을 감지하고 제어해주는 것이 바로 이 IC-CPD 충전케이블인데요.

자동차공학화 SAE J1772에서 정의한 표준대로 커넥터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어요!

 

J1772 커넥터 핀맵

J1772 커넥터

L1, N: 220V 전력선

PE: 접지 (Protective Earth)

PP: IC-CPD 케이블과 차에 있는 완속 충전기 연결을 알려주는 신호 (Proximity Pilot)

CP: Control Pilot, 최대 12V의 정현파(1kWz PWM, Duty로 벽전원에서 공급받는 전류량 OBC에 알려줌.)를 이용한 1가닥짜리 통신선로

Frequency 1kHz, Amplitude로 통신신호 규정

 

충전이 안될때 간단히 상태 체크하는 방법

멀티테스터로 PE와 CP 사이 전압을 측정해 주면 됩니다. (감전에 유의)

12V: 충전 준비

9V: 차량과 연결됨

6V: 충전 시작

3V: 환기 필요

0V: 종료

-12V: 에러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