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E-GMP 플랫폼 기반 베스트셀러인 아이오닉5의 취급설명서를 통해 회생제동을 알아보고,
어느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왜 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E-GMP 플랫폼을 쓰는 아이오닉5, 6, EV6, GV60 모두 비슷한 내용입니다.
회생제동이란?
차량 감속 및 제동시 전기 모터를 사용해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구동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
회생제동이 동작하지 않는 조건
아이오닉의 경우 충전량이 100%면 회생제동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어차피 이미 충전량이 100%이므로 회생제동으로 충전할 필요가 없는데요.
이외에 차 뒤에 트레일러를 장착한 경우에도 회생제동을 설정할 수 없다고 하네요. (아이오닉5의 경우)
테슬라나 재규어 I-PACE EV 같은 차들도 해외에서 Regen이 안되는 이유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이뤄지는데요.
예를 들어 태백산맥 꼭대기에 아이오닉5 차주가 집에서 90%만 충전을 하고,
산 밑으로 내려갈때 회생제동을 적절히 사용하면 분명 주행을 했는데 충전 잔량이 최대 100%까지
충전될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테슬라의 주행이력을 살펴보면,
에너지 소비량 (Consumption)이 +인 경우 에너지를 소비해서 모터를 주행시킨 것, -인 경우 회생제동으로 충전됐음을 보여줍니다.
전기차는 과충전되지 않는 것이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회생제동은 자동차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SOC (잔여충전량)이 90~ 100% 이상일때 동작되지 않기도 합니다.
'전기차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튬이온 배터리팩의 내부저항(DC-IR)과 등가회로 모델로 표현 특성 (0) | 2023.04.05 |
---|---|
아이오닉5, EV6를 220V 가정용 전기로 충전해도 되나요? (0) | 2023.02.15 |
전기차 완속충전기(IC-CPD) 통신방식 간단히 알아보기 (SAE J1772) (1)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