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9년 리먼브라더스사태 이후 양적완화를 하다가 2013년 5월에 첫 테이퍼링 발언 후 실제 2015년 12월 금리인상되기까지 국내주식시장은 어떻게 흘러갔는지 궁금해서 조사해봤습니다.
아래는 이전에 역사상 처음시행되었던 양적완화와 테이퍼링, 그리고 금리인상까지의 경로를 현재 시점에 대입했을때 언제 테이퍼링이 시작/종료되고 금리인상으로 이어질지 예상해본 자료입니다.
물론 이게 룰대로 움직일리는 만무하기때문에 대략적으로 관찰만 해보시길 당부드립니다.
리먼 사태이후 코스피가 크게 하락한 경우를 조사해보니....
2007.11 리먼브라더스 (2009 -> 892) : 56% 하락 ㄷㄷㄷ
2011.07 유럽재정위기 (2160 -> 1644) : 24% 하락 ㄷㄷㄷ
2012.04 유로지역 리스크 재부각 (2050 -> 1758) : 15% 하락 ㄷㄷ
2013.05 테이퍼링 (1980 -> 1770) : 11% 하락...ㄷ
지금까지는 코로나 팬데믹 사태 이후로 계속 주가가 오르기만 했는데 앞으로는 급락과 회복이 반복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미리 전략 잘 세워서 대비하면 누군가에겐 기회가 되기도 하겠죠?
반응형
'주식으로 돈불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으로 짠 키움증권 OpenAPI 조건검색, 매매주문, 계좌조회 샘플코드 완성! (0) | 2021.09.23 |
---|---|
연말정산 대비용 연금저축, 개인형 IRP, 중개형 ISA 모두 가입하기! (0) | 2021.09.13 |
대신 크레온 vs 미래에셋증권, 예약주문 기능 비교해보기 (0) | 2021.08.29 |
미국 테이퍼링시기 - 잭슨홀미팅 요약정리 (0) | 2021.08.28 |
LG화학 주가 급락 이유와 향후 전망 (Feat. GM, LG에너지솔루션)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