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불확실한 항해이다."
- 셰익스피어
20대에 이미 희망퇴직을 경험한 긍정왕수전노는 남들에 비해 경기불황에 대한 공포심을 갖고 있습니다.
국가의 녹을 먹고 있는 리사는 진심으로 공감할 수 없는 사기업 직장인의 비애이지요.
셰익스피어의 인생에 대한 명언처럼 언제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을지, 정년퇴직할 수 있을지 막연한 걱정이 있지만 조금만 더 확장시켜 생각해보면 사실 정년퇴직하기 전에 불의의 사고나 질병으로 이승 로그아웃을 하게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다만, 미래는 불확실한 것이니 그저 일반적인 상식선에서 미리 대비해보는게 최선일테죠?
미중무역전쟁, 한일무역전쟁, 신냉전시대 같은 세계정세는 차치해두고 일단 우리 한국인들은 평균적으로 얼마나 살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구글에서 "Life Expectancy Korea"를 검색해보면 세계은행의 국가별 기대수명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82.02세가 평균이군요. (이와중에 북한은 평균수명 10년 낮은거 실화?)
만 65세부터 죽는 순간까지 미니멀라이프를 지향하며 넓은 평수의 아파트를 아담한 사이즈의 아파트로 전환, 과다한 지출 자제 등으로 잔잔하게 몸과 마음의 평화를 누리며 사는 걸 전제로 합니다.
평균대로라면 연금은 약 17년 정도 받겠군요.. 이승로그아웃하는 날 싸짊어지고 갈 수 없는 이승의 돈과 재산들은 모두 탕진하는 걸로...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정년퇴직 나이는 만 60세이며 국민연금 수령시기는 1980년 후반대생인 경우 만 65세 이후 부터네요.
고령화시대로 접어들며 정년도 늘어나고 이에 따른 국민연금 수령시기도 더 늦춰질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죠?
아무튼 현재 기준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정년까지 일하기는 좀 그러니,
만 55세까지만 직장생활을 합니다.
그럼 연금개시까지 약 10년간 수입이 없을텐데 이때를 대비해 현금자산을 확보해야 합니다.
1. 주택담보대출 (중동 힐스) 모두 상환 : 앞으로 20년내에 4억가량 상환해야 함. 월 200씩 갚아나가기
2. 한달 생활비 부부 2명기준 250만원씩 1년 3000만원, 10년이면 3억
3. 3억은 필수생활비인데 여행, 취미생활을 위해 연간 1천만원을 더 쓴다치면 1.2억 정도 더 있으면 좋겠습니다.
4. 나이가 들면 가장 큰 문제가 퇴행성 질환들인데 지금부터 실비, 암보험, 종합보험 가입해 놨습니다.
>>>>>>>> 만 55세 ~ 만 65세까지 약 4.2억 필요!
그럼 앞으로 남은 약 20년 동안 우리 부부는 대출금 상환 4억 + 4.2억, 총 8.2억 정도 있어야 하고
대출 이자 비용등을 합치면 최소 9억이상은 확보해야 합니다.
9억을 역산해볼까요? 매달 얼마나 대출상환, 적금으로 써야할지를요.
쉽게 계산하기 위해 네이버대출금 계산기를 이용해봅니다.
현재 기준으로 9억을 확보했다 치고 대출이자는 최저로 해두면 대략 맞을듯 합니다.
앞으로 20년간 월 약 380만원정도 저축하면 됩니다..............
가... 가능하겠죠? 급여도 오르고 뭐.. 물가도 오르겠지만요.
팩트는 둘 다 20년만 더 성실히 일하면 노후는 크게 걱정안해도 되겠다는 결론입니다.
급여가 줄어서 저축액이 줄면 뭐 노후 삶의 수준을 조금 바꿔야 할듯하지만 불확실한 장기계획이니 밝은 면만 바라보도록 하겠습니다.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횡단보도 시스템 : 합리적이다!! (0) | 2019.09.03 |
---|---|
H mart에서 한식먹기 : 미국 한인마트 (0) | 2019.09.03 |
[발리여행] 서핑을 하고 비치클럽 La brisa 에 가다 (0) | 2019.09.01 |
2019 추석 맞이 가족여행 : 영광 백수해안도로 엘마르 펜션 (0) | 2019.08.26 |
가을여행주간이 뭐지? (9.12 ~ 9.29) (0) | 201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