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밌는 이야기95

현대 기아차 계약 대기기간 줄어들 예정인 이유? 현대자동차 직원이 소중한 전망 제시해줌 1. 고유가로 차 끄는게 부담스러워짐 2. 반도체 생산라인 정상화 3. 경기침체로 부자가 된 것 같은 착각 느꼈던 사람들이 현실자각하게 됨 2022. 7. 9.
살균 소독제가 세균과 박테리아 죽이는 원리 (실제 사진 첨부) 표백제, 알콜, 비누, 소독약 등 일반적으로 세균과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죽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약품들이 실제로 어떻게 살균을 하는건지 알아봤습니다. 1. 표백제 - 염소표백제(물과 만나면 차아염소산이됨 )가 세포막을 통과해서 세포의 효소를 파괴 - 작은 미생물도 다 죽음 2. 비누, 주방세제 - 계면활성제가 세균과 바이러스의 세포막을 녹여서 없앰. 3. 소금물 - 농도가 낮은쪽 용액이 높은쪽으로 이동하는 삼투압 현상때문에 세균이나 미생물 체내 수분이 빠져나가서 말라죽음 4. 소독용 에탄올 알코올 - 바이러스나 세균의 외부막, 외부벽을 순식간에 녹임. - 균이 빈사상태에 빠짐 자료출처: 지식인미나니 https://www.youtube.com/watch?v=pxq2V7iSywM 2022. 7. 9.
뜨워쓰기 안했을대 대참사 2022버전 2022. 7. 8.
49층 고층 아파트가 안전한 이유(1층이 48층 무게를 견디는 이유) 블라인드에서 건설사 전문가들 의견 취합함. #1. 하중은 1층이 버티는게 아니라 지반이 받도록 설계됩니다. 롯데월드타워 기초를 32시간 연속 타설한 건 그만큼 튼튼한 기초를 만들어서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에요. 1층이 버틸거면 미쳤다고 거기다 철근 콘크리트를 부어 넣겠습니까. 물론 건물 무게 때문에 하부층 강도설계를 상부보다 크게 하는 건 맞습니다. 전부 공학적으로 실제로 버텨야하는 값에 안전율 개념으로 넉넉하게 강도 잡아서 설계하구요. #2. 3층에서 전이매트 하나있고 25층 쯤에 하나있고 지하에 3000*3000 기둥 여러개 있고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합니다~ #3. 높은 빌딩 하부층은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 위로 올라갈 수록 받는 하중이 줄어드니 초고강도를 쓸 필요는 없지 콘크리트는 압.. 2022.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