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고

초보 주식투자자도 절대로 망하지 않을 수 있는 52주 고가대비 하락률 비중 매매법 (구조대가 오지 않아도 괜찮다...)

by 긍정왕수전노 2020. 6.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긍정왕수전노입니다.

일단 아래 짤 보고 가시죠.

다들 금호타이어 아시죠?ㅎㅎ 

CGV에서도 광고 맨날 하던데~

 

2007년에 3만원대에 물린 사람들은 13년이 지나도 본전은 커녕 거의 1/10 토막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상폐는 안당했으니까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하나...)

 


사실 이 포스팅은 정말 주식 처음 접하는 초보 투자자를 위한 포스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은 초보투자자들이 부업으로 돈좀 벌어보겠다고 주워 들은 이야기로 주식을 덜컥 매수했다가 크게 손실보고 맘고생하다가 

"역시 주식하면 망해~ 주식은 위험한 것!"

이런 안좋은 인식을 갖고 주변에도 주식한다는 사람있으면 "내가 해봤는데 말이야~ 그건 하면 안돼~ 망해!" 이런 분들이 생기는듯 합니다.

 

대주주의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로 분식회계, 주가조작으로 말아먹을 회사가 아니고서야 건실하게 사업을 잘 하고 있는 회사 주식이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비싸게 산 내가 잘못이죠~

그래서 내재가치를 구하고 그것보다 저렴해질때 매수해서 가치를 상회하면 매도한다는게 가치투자의 근간인데요.

 

이놈의 "내재가치" 구하는게 초보자들에겐 정말 어려운 일이잖아요?

 

그래서 저는 초보투자자들에게 그냥...

1) 주식이 비싸면 매수하더라도 조금만 사고 싸면 많이사고,

2) 장기적으로 주가가 땅굴파고 들어가는 종목은 매수하지 않기

만 해도 주식으로 망하거나 마음고생할 일은 없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1번에서 말씀드린 주식이 비싸면 매수, 싸면 많이 매수하는 방법은 아래 그래프대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좀 더 설명해볼게요.

고가 대비 하락률 1%당 1만원씩 매수하기로 했다 칩시다.

예를 들어 52주 고가대비 50% 하락시,

1배수로 매수한다고 치면 50만원 어치 매수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하락률에 "제곱"하는 것을 적용해 봅시다.

50%^2 = 25%가 되는데요.

50%가 하락해도 25만원 어치 밖에 매수를 못하게 됩니다.

 

그런데 더 많이 하락해서 90%까지 하락했다면...

제곱을 해도 81%니까 81만원을 매수할 수 있죠? 

위 그래프에서 보듯 하락률이 깊어질 수록 매수하는 비중이 가속도가 붙어서 더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조심해야 할 것이 있어요.

2) 장기적으로 주가가 땅굴파고 들어가는 종목은 매수하지 않기

회사가 정말 문제가 있어서 장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했다면... 52주 고가대비 충분히 저렴해져 있더라도 무슨 이슈가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저는 이 "장기적"을 240일 즉 1년 기간의 이동평균선을 이용해서 판단합니다.

240일 이동평균선보다 종가가 위에 있거나 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 중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이런 것들을 한번에 체크할 수 있도록 크롬 스프레드시트를 만들어 봤습니다.

예를 들어 모두투어의 경우 52주 고가대비 -45.8% 정도로 많이 하락해서 저렴해 보일 수 있지만 240일이평선 < 종가, 240일이평선 기울기 하락 중인걸 봐선 사업에 본질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반대 케이스로 하이비전시스템은 종가 < 240일이평선 상태지만 240이평선 기울기 추세가 살아있다보니 매수는 가능한 상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사본만들기 해서 한번 관심종목들을 분석해보세요!

docs.google.com/spreadsheets/d/1Yhbj-UaO1IUEOZFnNAS1B8zF1e4WVRx883SsXleoAXs/edit?usp=sharing

 

2020 52주하락률 분석

매수후보 기술적분석 종목명,모두투어,사용자 정보 현재가,10,300,1%당 매수금액,30000 하락률^2 (제곱),20.97% 매매시그널,장기적 하락추세입니다. 하락 이유를 공부하세요. 매수금액,0 매수수량,0 0801

docs.googl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