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고

서울, 경기도 아파트 입주 물량 분석 (2017 - 2022)

by 긍정왕수전노 2019. 12. 2.
반응형

클리앙펌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havehome/14345832?od=T31&po=0&category=&groupCd=

 

서울+경기도 아파트 입주 물량 찾아봤습니다 (2017년-2022년) : 클리앙

종부세 이야기로 다들 핫하시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은 더 오를 것 같고 세금도 더 오를 것 같습니다. 문득 궁금해져서, 2018년에 역대급 입주라고 하는데 과연 얼마나 공급이 있었는지 찾아봤습니다. 서울과 경기도는 같은 권역이라고 생각해서 2개 지역을 같이 찾아봤어요. 2017년 서울 44,320 경기도 115,088 서울+경기도 합 159,408 2018년 서울 38,931 경기도 157,018 서울+경기도 합 195,949 <--

www.clien.net

 


종부세 이야기로 다들 핫하시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은 더 오를 것 같고 세금도 더 오를 것 같습니다.

 

문득 궁금해져서, 2018년에 역대급 입주라고 하는데 과연 얼마나 공급이 있었는지 찾아봤습니다.

서울과 경기도는 같은 권역이라고 생각해서 2개 지역을 같이 찾아봤어요.

 

2017년 서울 44,320 경기도 115,088 서울+경기도 합 159,408

2018년 서울 38,931 경기도 157,018 서울+경기도 합 195,949 <-- 20만 정도면 역대급 물량이라고 하는 거구나... 라고 정보 획득.

2019년 서울 41,690 경기도 120,938 서울+경기도 합 162,628 <-- 올해입니다. 올해 분위기가 어땠는지 생각을 해보시면...

2020년 서울 42,506 경기도 92,988 서울+경기도 합 135,494 <-- 내년은 경기도가 훅 떨어집니다.

2021년 서울 19,405 경기도 82,889 서울+경기도 합 102,294 <-- 서울, 경기도 모두 훅훅 떨어지면서 둘의 합이 2018년의 절반 수준으로 훅 떨어집니다

2022년 서울 10,197 경기도 46,383 서울+경기도 합 56,580 <-- 2022년 11월까지입니다. 12월 자료는 없네요;; 2022년은 공급절벽 수준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냥 대략 차트를 발로 만들어봤습니다;;

 

서울은 세대수가 430만, 경기도는 540만 정도 됩니다. 

서울만 보면 주택 자가 보유율은 45% 정도 되는 것 같은데, 대략 퉁쳐서 서울 세대수의 절반 정도라고 보면

200만 넘는 세대들은 아직 집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경기도 자가 보유율은 60% 정도 됩니다.

역시 200만 넘는 세대들은 아직 집이 없다는 의미겠네요.

 

이들 모두가 내집을 마련할 수는 없겠지만,

향후 아파트 공급량을 고려해보면

서울과 경기도의 집값은 당분간 떨어질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에 더하여 보유세도 계속 오르겠네요... 쿨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