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고

전자공학도가 이해하는 알고리즘 평가방법 (Big-O, Omega, Theta)

by 긍정왕수전노 2021. 9. 29.
반응형

컴퓨터공학쪽에서는 기본중에 기본 같은 개념이던데,

전자전기공학부 학사 출신인 나는 이번 기회에 처음 들어본 이야기.... (심지어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으로 밥벌어 먹고 산지 10년차인데 자기계발이 부족했다는 뜻일까?ㅠ)

암튼,

코드가 효율적으로 잘 짜여져 있는지 보기 위해 평가기준이 필요한데

- 메모리 사용량

- 수행시간

이 일반적인 것 같다.

이를 있어보이게 표현하면

- 메모리 사용량: 공간복잡도

- 수행시간: 시간복잡도

로 일컫는 것 같고 왜 인지 모르겠으나 온라인상에서는 시간복잡도에 관련된 개념들이 훨씬 많던데

내 추측으로는

DDR4 같은 DRAM을 점유하는 비중이 좀 더 커지더라도 빠릿빠릿한 실행속도를 원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많기 때문이 아닐까...

필요하면 DRAM은 더 장착하면 되는데 CPU 추가로 장착하는건 불가능하고 통째로 바꿔줘야 하기때문에 비용과 공수에 차이가 크다..?


암튼 여기선 시간복잡도를 먼저 살펴보겠다.

아래 그래프가 정말 키포인트다.

앛,

Big-O, Omega, Theta의 개념을 정리하지 않았군

Big-O: 최악의 경우 수행시간

Big-Omega: 최고의 경우 수행시간

Big-Theta: 평균적인 경우 수행시간

 

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일반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했을때 내 프로그램에 불만을 갖는 경우는 드럽게 느리게 동작할때 아니겠는가? 프로그램이 쾌적하고 빠릿빠릿하다고 불만 가질 사용자가 있을까 싶다.

그래서 Worst case를 가정하는 Big-O 표기법이 중요한데,

 

그럼 다시 시간복잡도 차트로 돌아와서

 

Running time은 사실상 실제 코드의 수행시간을 의미하기 보다는 입력 데이터 증가에 따라 수행시간이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저 표를 수박겉햝기로 라도 이해하기 위해 아래 순서를 머리에 박아두고

프로그램짤때 수행시간이 덜 걸리는 방향으로 작성하는게 좋겠다.

[ 수행시간 오래 걸리니 가급적 지향해야 할 알고리즘 순서 ]

n: 입력데이터 수

O(n!), O(상수^n), O(n^상수), O(nlogn), O(n), O(logn)

 

이게 이론만 보니간단한데 실제 코드를 보고 Big-O 계산하라그럼 헷갈릴거 같긴하다...

근데 일단 핵심이론만 장착하면 될거 같은데 내가 이해하는 Key-factor 들은

1. 데이터수 증가에 따른 수행시간 증감을 평가하려는게 Big-O 계산법이다.

2. for, while, do-while같은 반복문이 영향을 크게 준다.

3. 가령 반복문안에 있는 수행함수는 아무리 길어져도 Big-O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데이터수가 많아지거나 말거나 항상 그 구문은 동일하게 수행될거기 때문이다.

 

Big-O 계산을 실제로 해보지 않고 개념만 대강 이해하고 쓰는 글이라 틀린내용 있어도 난 모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