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고

전기 동력팩 현업 개발자가 말하는 유망 2차전지 소재기업

by 긍정왕수전노 2020. 6. 28.
반응형

리튬 이온 배터리는
양극재 : ncm811 3성분계 (니켈 코발트 망간)를 사용하는 파우치 배터리가 우리가 흔히 아는 전기차 배터리로 사용됩니다.
국내 배터리 업체
LG화학은 양극재를 포스코케미칼로 부터 공급받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양극재를 에코프로비엠으로 부터 공급받고 있구요.

테슬라가 주로 사용하고 있고 원가경쟁력때문에 현대기아차에서도 검토하고 있고 일부 양산 준비 중인 원통형 21700셀은 양극재가 nca811로 되어 있습다.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이죠.

파우치팩을 알루미늄캔에 넣은 것이 각형 전지입니다. 삼성 sdi가 강점을 보이는 분야죠 ㅎㅎ


양극재 조합비율에 따라 에너지밀도 수명 가격이 달라지는데요.
에너지밀도에 관여하는 키 팩터는 니켈이지만 불안정해서 코발트 망간을 함유합니다.

여기서 요즘 이야기 나오는게 드뎌 ncma 4성분계 양극제입니다.

음극제는 흑연, 그라파이트라고 하죠? 이게 가장 많이 쓰이는데 충전시 최대한 리튬이온을 끌어안을 수 있게 리튬이온을 삽입한 실리콘 기반 음극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음극재는 포스코켐텍! 포스코케미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