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클리앙
본문에 들어가기 앞서 알고 넘어가야할 이야기
방전의 깊이 - Depth of Discharge
- 요약 : 과거 니켈 카드뮴, 니켈 메탈 수소 등은 메모리 효과때문에 완충, 완방전을 하는게 좋았으나 최근의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등의 대세를 이루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메모리 효과가 없고 방전이 많이 되기 전에 자주 충전하는 것이 배터리 수명에 좋다!
1. S사 배터리 엔지니어 의견
S 모사 근무 배터리 연구원으로 지금 차장급입니다..(S는 R 직군은 과장 6년차도 그냥 책임니까요...)
10년 넘게 배터리 했네요. 지겹습니다...^.^
S 그룹 다니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사내 강사로 활동합니다. 그냥 외부 강사 쓰지...
뭐 오랫동안 배터리 연구하고 개발업에 있습니다.
강사 노릇 하면서 많이 질문합니다.. 휴대폰 배터리 오래가는 법 아세요?
하...
아직도 full to full 해야 오래간다고 손드시는 분 거의 대부분...
full to full 하시면 휴대폰 배터리니 패드 배터리 1년 못가 용량 팍팍 줄어드시는걸 보실겁니다.
리튬이온 전지는 양극제 조성이 어떻든 그냥 생각나시는데로 충전 자주하시는게 정답입니다. 절대로
0%가게 하지 마세요... 0% 가는 순간 수명 팍 줄었구나.. 생각하심 됩니다.
생각나는데로 그냥 충전기 꼽으세요.
일예로 full to full 하면 5~800 회에 배터리 수명이 DoD 7~80%, 즉 보증 용량 이하로 급격히 떨어집니다.
그걸 그냥 한 30%에서 충전하고 하면 이게 2~3000 회는 그냥 유지 됩니다.
농담같지요? 맞습니다. 실측입니다. 50% 정도에서 충방전만 지속하면 무려 1만회 까지 보증됩니다.
절대로 만방 하지 마시고... 시간되면 그냥 충전기 꼽으세요. 자주 충전하는건 아주아주 훌륭한 행동입니다.
반박하실분은 하세요. 리튭전지 개발 1세대로서 해외 고객의 진상을 다 겪었습니다.
아직도 리튬전지에 대해 오해 하시는 분들이 많아 안한 화톳불좀 지피고 싶어 초미립자팁을 적었습니다.
2. L사 배터리 엔지니어 의견
L모 BMS 제어 회로(마이컴 코딩) 제작한 경험을 토대로 말씀 드립니다.
보통 리튬 배터리의 만충 전압이 4.20v , 방전 전압을 2.8V 로 사용을 합니다.
핸펀에 들어가는 배터리 전압 표기는 제조사 마다 틀리지만 아이폰의 경우에는 4.09v 를 100% 완충으로 잡습니다. 0.11v 정도의 여유를 두는것으로 위에분이 쓰신것 처럼 노트북에도 만충 전압을 적게 잡아 배터리 수명을 늘릴 생각으로 프로그래밍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폰의 0% 는 거이 3.41v 에서 컷 됩니다. 배터리 전체 용량의 15%~ 20% 정도는 남겨두고 꺼집니다. 이 또한 배터리 수명에 의한 것입니다. 아마 다른 제조사 들도 크게 틀리지 않을겁니다.
4.17V 만충전압에서 cv/cc 값이 검출된 상태에서 1개월만 두어도 배터리 수명 30% 정도 저하 됩니다.. 4.20v 가 넘어 가면 배터리는 부불기 시작하지요..
2.8v 까지 방전 된 상태라면 배터리가 부불기 시작 합니다.. 이 상태는 배터리를 재 충전 하더라도 원 배터리의 50% 성능도 안됩니다.
배터리는 오래 보관 하기 위해서는 50% 정도의 충전해서 서늘한 곳에 보관 하시면 됩니다. 전압으로는 3.7 정도 맞춰 주시면 됩니다.
결론은... 신경 쓰지 말고 걍 충전해서 쓰자;;; 입니다...(...)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D 매매법 - MACD의 둔감하지만 강력한 추세 경향성을 이용하자. (0) | 2020.05.14 |
---|---|
20, 60, 120 이동평균선이 강한 추세로 상승 중인 우량 종목 리스트 (Feat. Signal Catcher 검색 종목) (0) | 2020.05.13 |
상승추세 우량주 검색식 (0) | 2020.05.13 |
미니멀로 캠핑준비하기 (0) | 2020.05.10 |
종근당그룹 지배구조와 계열사별 주요제품군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