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1년 연말정산때 깜빡하고 연금저축 한도 400만원을 안채워서 무려 130만원을 다시 뱉어내야 했던 쓰린 기억이 있습니다.
올해는 많이 돌려받진 못해도 최소한 돈을 내지는 않으려고 ISA, IRP, 연금저축 투자계획을 좀 고민해봤습니다.
연금저축+퇴직연금IRP 포함해서 총 700만원을 불입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
연금저축 | ISA | IRP | |
연간 목표불입액 | 400 | 100 | 300 |
세액공제율 | 13.20% | 0%, 만기 후 300만원까지 연금저축으로 전환 | 13.20% |
만기 | 만 55세 | 3년 | 만 55세 |
투자수익 세금 | 55세 개시 5.5% | 200만원 공제, 초과분 9.9% | 55세 개시 5.5% |
예상 세액공제 | 52.8 | 0 | 39.6 |
즉, 연간 700만원씩 모아서 55세 이후의 노후대비를 세액공제를 받으면서 진행해보는 겁니다.
세액공제는 다른 말로 하면 "확정수익"인셈입니다. 아쉽게도 복리수익은 아니고 매년 불입금액에 대한 단리수익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각 연금저축, IRP 계좌의 투자ETF는 TIGER 미국S&P500 같은 국내 주식보다는 미국 종합지수 추종 ETF를 매수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
참고했던 자료들
반응형
'주식으로 돈불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 환율이 올라도 미국 인덱스 ETF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SPYG, SCHD, VOO, VTI 등) (0) | 2022.09.17 |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PI 산출 방법과 주식에 미치는 영향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2.09.14 |
ARIRANG고배당주 매수시점 분석 - 20220911 (0) | 2022.09.11 |
TIGER200 매수시점 분석 - 20220911 (0) | 2022.09.11 |
SCHD 매수시점 분석 - 20220911 (0) | 2022.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