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고

한일무역전쟁과 우리나라 경제전망(블라인드에서 퍼옴)

by 긍정왕수전노 2019. 7. 30.
반응형
블라인드 재테크 게시판을 읽다가 제 생각과 비슷한 글이 있어 퍼왔습니다.

G*건설 다니는 어느 현자님의 글..
한번쯤 읽어보시고 비판이든 동감이든 하시면 좋을듯


==============
주식이야 이미 많이 떨어졌으니....

그동안 부동산은 꾸준히 우상향 해왔습니다.
아주 장기적으로는 더 오르겠죠.
저도 폭락주의자들에 동조하지 않습니다.
물가와 자산가치는 팽창하기 마련이고 더군다나
교통, 쾌적한 내부, 학군및주변 환경 등
유인요소에 따라 기본적으로 구매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주식으로 따지면 우량주를 사기 위해
밑에서 받쳐놓은 매수대기자가 많은 셈이죠.
(특히 서울 강남 아파트)

1980년대 이후 주택평균 가격이 두번의 하락이 있었는데
잘 알다시피 imf와 금융위기입니다.
imf는 15프로 미국발금융위기는 8프로 정도입니다.
(의외로 낮나요?? 전체평균입니다 ㅎ
 아예 거래가 안되는 곳도 많으니 반영이 안되는거죠)

이러한 하락은 실물경기의 하락이 시차를 두고 반영됩니다.
1998년 경제성장율 -5.7프로
2009년 경제성장율 0.7프로

통상 6개월이라고 보는 시각들입니다.
증시는 6개월 선행 - 실물경기 하락 - 부동산 6개월 후행

왜나하면 주식(금융자산)으로 손해보고 실업으로 직장 잃으면 버티다가 남는건 부동산뿐인거죠.
원래는 소비를 먼저 줄이는데
(그래서 자영업이 어렵고 소비재기업이 매출이 줄음)
줄이다가 이제 대출을 줄이죠.
(가계대출 증가율이 많이 줄었는데 부동산 규제의 영향도 있지만 이제 가계의 대출 여력이 어느정도 천장에 다다랐다고 봅니다. 똑똑하고 비싼 1주택 줄서기는 어느정도 진행되었고, 추가로 사줘야할 젊은층은 그냥 인서울 포기하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현재 우리나라 경제 실물경기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옛날부터 어려웠다고요? 그건 우리나라가 수출주도형 국가라서 그렇습니다. 중국도 그렇고 마찬가지예요.
나라는 돈이 좀 있고 그 돈은 똘똘한 기업이 벌어주고 내수는 후행으로 따라가죠. 부족하지만 낙수효과죠.
(논쟁은 잠시... 기업의 고용효과로 바꿔서 생각하시죠)

국민이 직접 외국상대로 돈버는 관광이 엄청나거나 석유가 펑펑나거나 정부가 돈을 펑펑 쓰고 빛지지 않으면 뭐...
내수는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내수 비중이 43프로정도죠....

우리나라 외환보유고를 채워주고 경상수지 흑자를 내는 기업들이 이익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상장기업 상반기 이익이 37프로 감소.... 매출도 줄고 있습니다.
(기업은 원래 매출감소가 더 큰 문제)

GDP는 1분기 -0.4프로 2분기 1.1프로인데
정부재정 65% 땡겨쓴 결과입니다.

2019년 정부재정 476조(전년보다 6.5프로 증가) 인데
상반기에 71조를 더 쓴셈입니다.

GDP로 따지면 0.4프로 더 올린 셈입니다.
(절반만 썼으면 2분기 0.7프로 란 소리임)

자 그럼 추경한다고 하는데 얼마나 더 해야할까요?

기업의 이익급감이 과연 2분기에만 국한된건가요?
그럼 정부세입의 절반을 차지하는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중 법인세가 현격히 줄어듭니다.
내수랑 고용이 안좋으니 소득세 부가가치세가 늘진 않겠죠.
정부의 재정지출 여력이 부족해질겁니다.

이번달 금리인하했죠?
효과가 있었나요... 유동성의 덫에 빠졌습니다.
마이너스금리까지 맛본 이후에도 글로벌 경기는 살아나지 않았습니다. 미국만 트럼프 개인능력으로 고고씽하죠.

이제 시장은 금리인하를 장기전망에 대한 불안으로 봅니다.
미국은 아니죠. 신규투자 고용유지 기업의성장성 주변국가기업과의 상대적우위.... 강남부동산인거죠..
요즘 해외주식많이하잖아요? 어디 할래요?
우리나라는요... 이제 금리를 낮춰봐야 돈이 흐르지 않아요
정부정책 부작용 및 기업전망이 암울해 투자하지 않습니다.
하이일드채권에 대한 최근 기사 찾아보세요. 기관이나 연금 펀드운영사에서 돈은 많은데 투자할곳이 없어요.

imf는 실물경기에 엄청난 타격을 입히고 부동산도 급락했죠. 거진 1/3에서 반값들..

금융위기는 1년 0.7프로찍고 반등했습니다.
부동산은 급매들이 10~20프로씩 출회했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은 실물경기 전이를 선제적으로 막았습니다.
그리고 정부지원과 선제적인 기업투자로 오히려 삼전 하이닉스가 튀어나갔죠.

이번에는 두 경우와 또다르게 진행되지 않을까 하네요
일본화이트리스트 배제를 빼고라도 기업실적이 너무 급감하고 자영업과 중소기업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공단 한번 가보시면 알아요. 1년전부터....이미..

화이트리스트 배제 실행되고 장기화 되면
미국금융위기 버금가는 충격이 예상되고
쉽게 탈출 못합니다.

이미 고용구조 안좋은 쪽으로 흔들어놓았고
유동성 풀어놔서 가장 강한 무기인 금리인하 종이칼되었고
국가재정확대는 여력이 줄고 공공근로 청년수당처럼 부가가치 적은 곳 위주로 쓰입니다.

지금이라도 바뀌아져야 하는데....

일본문제 외교적으로 풀고
국가재정 공공근로 허공에 날리지 말고
토목공사라도 하고 기업공장 투자유치에 사용하고...

금리는 올려서 허리띠 졸라매게 선조치하고
한계기업 미리 정리해야 하는데..
기업들이 투자잘하도록 괴롭히지 말고
엄청난 규제와 법들 제발 정리해서 없앴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노조는 중위소득 이하만 하도록 하자...
월소득 450만원에 청약도 못하고 대출도 못받고 서민 아니라는듯 해놓는데......
평균연봉 8천~1억받는 노동자는 왜 노조가 필요해?

암튼 이것저것 뉴스를 보니 나라경제가 수직강하하고
부동산도 이제 유동성의 마지막으로 고점으로 가면서
(쌍봉을 그리면서 좀 더 오를지.헤드앤숄더가 될지 모르겠지만)
위험한 구역으로 진입하고 있지 않나 합니다..
차라리 2~3년 조금 건전하게 조정받으면 더 갈텐데

그냥 긴 잡설이니 심각하게 읽지 말아주세여.

====
반응형